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책 리뷰

주식투자자 관점에서 재무제표 행간을 읽어라.   최근 2~3년동안에  국내 및 해외주식 열풍이 불고 있습니다.     유튜브, SNS,  네이버 카페,  개인 블로그  등  가장 핫 이슈로  떠오르는 것은  어떤 종목에  투자했으며  수익율  인증 사진 또는 글이 아닐까  싶습니다.    1인 1주식  삼성전자(우) 보유는 너무나도 흔한 일이 되었습니다.   펜데믹,  노동이 아닌  잠자는 중에도   돈이  저절로 생기는  마법같은 일,  사람들 앞에서  돈돈 거리기는 싫지만  부자가 되고 싶은  저 깊은 가슴속의  욕망을  세계를  휩쓴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주식관련  유튜버가 많아지면서  비용을 지불하며  들어야 했던  정보을  쉽게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정보 홍수속에   다급한 마음으로   뛰어들면  망한다는  사례도  많지만   솔직히  듣고 싶고  믿고 싶은  사실은 주식해서  어떻게   돈을  벌었냐는  후기가  가장 신이나고  재미있습니다.    나도 당장  유튜버가  추천하는  주식에  1천만원만  투자하면  10억이 될것 같은 환상과  비트코인으로  하루아침에  퇴사한  후기는  정말이지  많은  감정을  들게  합니다.    주식투자하기  전 꼭 공부해야 한다는 "재무제표  분석"    회계 및 세무 관련  업무를  하지 않는 이상  재무제표를  접할 기회가  없고  착실한  초보 투자자가 아닌 이상  대부분  주식시장 뉴스  및  작전주 등  많은  사람들의  정보속에서  소중한  투자금을  아낌없이  한꺼번에  올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히  직업적으로  기업정보를   읽는  것이 아니라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을  콕콕  찍어주는  책이 있어  리뷰합니다.

 

 

 

*  재무제표  빠르고 정확히  읽기

 

1.  기업의  재무제표  숫자가  클수록  좋다.    예를 들어,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채권,  재고자산,  유형자산

 

2.  스토리가 더 중요하다.  큰 숫자가  발생하는 이유를  찾아봐야 한다.

 

3.  재무제표가  절대  투자의  정답은 아니지만,  모르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다.

 

4.  계정과목 서로 비교 습관 기르기 -  매출액 - 매출채권,  매출액 - 재고자산, 매출액- 유형자산,  매출채권 - 매입채무

 

5.  계정과목  조화 및 균형이 이루는지  확인

 

6. 투자하면  안되는 기업 걸러내기 - 영업적자  계속 발생할 경우,  이자 보상비율이 1배 미만,  매출액  변화가 없을 경우,  재고자산/매출채권  갑자기 증가 되는 경우

 

7.  전자공시 DART 및  네이버증시에서도  쉽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  자동변동표,  현금흐름표,  제무제표 주석을  쉽게  확인가능.   주식투자할  때  가장 우선순위는  손익계산서(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채권, 유형자산, 재고자산),  재무상태표(주주 자본금, 자본 잉여금, 외부차입  차압금, 사채, 부채 매입채무, 선수금 ,  이익잉여금),  현금흐름표와  제무제표 주석이다.    만약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라면  투자 재검토 필요.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관리비 = 영업이익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영업외 비용, 법인세 납부 =  순이익

*  순이익 -  배당금 지급 =  이익잉여금 =>  자본 흡수

 

 

*  용어  정확히 알고 가기 

 

1.  손익계산서 

①  매출액의 규모를  단편적으로 파악을 할 수 없음.  전분기 또는 전년 동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여부를 체크하는 항목임.   만약  매출 지속적으로 감소 ->  매출원가/판매비,관리비 감소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여  주가상승한다면  적정한 시기에  주식매도가  필요하다.

②  영업이익  증가여부 체크.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증가여부 파악③  지배지분  순이익이  영업이익과  큰 차이 나는지 여부파악④  재무제표  주석의 " 비용 성격별 보류"  기업의 비용주고 파악 필요.   고정비  높은  기업인가?  원재료처럼  변동비  비중이  높은 기업인가?  ⑤  감가  상각비  규모 파악  -  재무제표  주석 "유형자산 -  변동내역 "  확인필요

 

2. 재무상태표①  유동자산 현금,  현금자산은  기업의 매출규모에  비해  적당히 보유.  회계년도  말 기준  매출액  대비 7~15%  수준의 현금보유②  매출 증가 , 매출채권 증가③  재고자산 증가,  매출 증가④  유형자산⑤  대손 상각비가  중간 기업은 문제기업⑥  부실기업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증가,  매입채무  거의 없다.  

 

 

*  바쁜  주식투자자가  꼭 확인해야하는  항목.  

 

-  매출액 :  종목선정 대표기준( 주가상승의  가장 큰 원동력~)

-  전분기 대비  또는 전년 동기  대비  꾸준히 증가해야 한다.   연평균 10%  ->  성장기업 -> 훌륭한 기업. 

-  영업이익 : 단기적으로   기업의  주가에  큰  영향을  준다.

- 기업 3년 연속 영업적자 ->  부실기업(특히,  제조업 제일 위험)

- 상장폐지 : 관리종목 여부 확인

-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 매출원가  : 기업의 제품생산  과정과  직접관련된  내용

-  판매비와 관리비 : 생산된  제품의  판매 활동이나 본사관리활동과 관련된  내용

-  감가상각비 : 기업이 신규 생산설비  취득하는 경우 이를 비용이 아닌 유형자산 처리 후, 취득한 이듬해부터  일정기간 생산설비의  가치가 하락할  만큼  비용처리.  매출채권 증가,  매출증가

-  매출원가 =  기초재고자산 +  당기 제품생산 이용(증가)  - 기말재고자산(증가)

-  단기차입금(유동성  자기부채) ->  비중이 크다면 ->  자금사정이 좋지 않다.   

블로그 포스팅이 도움되셨다면
공감버튼♥ 댓글♥ 구독♥ 부탁드려요~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